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이야기

욕심과 관련된 고사성어 10가지

by 별이 빛나는 밤에
반응형

욕심과 관련된 고사성어 10가지
욕심과 관련된 고사성어 10가지

욕심과 관련된 고사성어 10가지

 

욕심과 관련된 고사성어 10가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1. 탐욕과 과한 욕심


욕속부달(欲速不達) – 

너무 빨리 이루려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지나친 욕심은 일을 그르칠 수 있음을 경고.


토사구팽(兎死狗烹) – 

필요할 때는 이용하다가 필요 없으면 버린다는 뜻으로, 이익을 위해 사람을 이용하는 탐욕적인 태도를 의미.


교언영색(巧言令色) –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겉으로만 꾸미는 태도로, 욕심을 채우기 위한 아첨을 의미.


견물생심(見物生心) – 

물건을 보면 갖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는 뜻으로, 인간의 탐욕을 나타냄.


2. 끝없는 욕심과 그 결과


탐욕무도(貪慾無度) – 

욕심이 끝이 없어 정도를 넘는다는 뜻으로, 지나친 욕망이 결국 화를 부름을 경고.


과유불급(過猶不及) –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는 뜻으로, 과한 욕심이 오히려 실패를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


염량세태(炎凉世態) – 

권세가 있을 때는 따르고 몰락하면 냉대하는 세상의 인심을 의미하며, 탐욕과 현실적 이익만을 좇는 태도를 비판.


만수무강(滿水無綱) – 

물이 가득 차면 넘친다는 뜻으로, 욕심이 지나치면 오히려 화를 불러옴을 의미.


3. 욕심을 경계하는 교훈적 표현


호사다마(好事多魔) – 

좋은 일에는 방해가 많다는 뜻으로, 욕심을 부릴수록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음을 경고.


인욕지심(人欲之心) – 

인간은 본래 욕심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뜻으로, 욕망을 절제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


이 사자성어들은 욕심이 가져올 수 있는 결과를 경고하며, 절제의 미덕을 강조하는 교훈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한국인이 자주 쓰는 사자성어 10가지

한국인이 자주 쓰는 사자성어 10가지  사자성어는 네 글자로 이루어진 한자어로, 주로 교훈이나 격언, 철학적 의미를 담고 있는 표현입니다.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 중 대표적

chunggwa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