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이야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여행 한다면 볼 수 있는 "백악기" 시대의 천연기념물은?

by 별이 빛나는 밤에
반응형

부산시 부산진구 문화재와 천연기념물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여행 계획이 있다면

천연기념물과 문화재를 보고 와도 좋겠습니다.

 

부산진구에 있는 천연기념물과 등록 문화재, 유형문화재, 문화재 자료, 보물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여름에 방문하시다면 양정동 배롱나무를 보고 와도 좋겠습니다.

 

문화재명 소재지 시대 종별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동평로 335 고려 천연기념물
부산 전포동 구상반려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2동 산12번지 일원 백악기 천연기념물
구.성지곡수원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295 구한말 등록문화재
디젤전기기관차 2001호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1219 1950년 등록문화재
동모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 청동기 유형문화재
동모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 청동기 유형문화재
동파두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 청동기 유형문화재
포은시고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 조선 유형문화재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산로 138 조선전기 유형문화재
천안사 법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산로54번길 72 1577년 유형문화재
삼광사 석조여래좌상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천로43번길 77 조선후기 유형문화재
선암사 괘불탱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산로 138 1926년 문화재자료
대원사 독성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공원로 110 19세기 문화재자료
선암사 청동북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산로 138 조선후기 문화재자료
교린수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 1881년 문화재자료
선암사 삼층석탑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산로 138 고려 문화재자료
신흥사 치성광삼존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공원로 77-20 1885년 문화재자료
홍제사 보광암명 범종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진남로304번길 34 1935년 문화재자료
현수제승법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공원로 110 1500년 문화재자료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 부산진구 엄광로 176(가야동, 동의대학교) 삼국시대 보물
구상암(球狀岩)이란

공처럼 둥근 암석으로 특수한 환경 조건에서 형성되며, 대부분 화강암 속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부산 전포동의 구상 반려암은 길이 400m, 폭 300m에 달하는 반려암 속에 구상암이 들어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이는 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기록된 희귀암석의 종류이다.
구상암의 지름은 작게는 1㎝ 이하인 것부터 크게는 5∼10㎝인 것도 있다. 색깔은 암록회색 내지는 연한 회색이다.

부산 전포동의 구상 반려암은 암석의 생성과정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우 희귀하고 특수한 암석으로서 지질학적 연구가치가 크다.

출처 - 문화재청
반응형

댓글